전체 글50 [평면도형]원과 부채꼴(원주율, 원의 넓이 구하는 방법) 오늘의 학습 1. 원과 관련된 기본 용어 2. 원주율이란? 3. 원의 둘레 구하는 공식 유도하기 4. 원의 넓이 구하는 방법 원과 관련된 기본 용어부터 알고 가자. 호 AB 원 위의 두 점 A, B를 잡았을 때, 그 두 점을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일부분 중 짧은 부분. 그렇다면, 원의 일부분 중 긴 부분은 어떻게 표현할까?? 큰 쪽의 호를 나타낼 때에는 그 호 위에 한 점 C를 잡아 호ACB와 같이 나타낸다. 현 CD 원 위의 두 점 C, D를 잇는 선분 할선 원과 두 점에서 만나는 직선 (참고로, 원과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은 접선!) 부채꼴 AOB 두 반지름 OA, OB와 호 AB로 이루어진 도형 중심각 부채꼴에서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 저 그림에서는 각 AOB 활꼴 호와 현으로 이루어진 도형 원.. 2022. 11. 22. [내돈내산]베이비브레짜(baby brezza) 사용후기,세척방법 일명 브레짜 이모님이라고 불리는 베이비브레짜 사용후기와 까다롭고 귀찮지만 매우 중요한 브레짜 세척 방법을 써보려 한다. 1. 브레짜 사용후기 조리원 나와서부터 완분을 선택했기 때문에 나에겐 브레짜는 필수 육아템이다. 매일 아침 끓여서 50도 이하로 식힌 생수물을 물통에 넣어두면 아기가 배고플 때마다 자판기에서 커피 뽑듯이 분유를 타서 바로 먹일 수 있다. 완분 예정이라면 필수템!! 가격이 비싸서 당근에도 많이 나오지만 아기 입으로 들어가는 제품인 만큼 새 제품을 사는 것이 가장 좋고, 당근에서 사려면 장기간 보관해둔 것은 절대 사지 말고 바로 지난주, 이틀 삼 일 전까지 사용했던 것을 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제 귀찮고 까다롭지만 중요한 브레짜 세척 방법을 살펴보자. 자세한 설명을 하기 전, 간단히 .. 2022. 11. 19. [평면도형]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을 구하기 위한 복습! 1.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삼각형은 180˚ 사각형은 360˚ 오각형은 540˚ 육각형은 720˚ 칠각형은 900˚ 팔각형은 1080˚. 2.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내각과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 자! 이제 삼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을 구해보자. (한 내각+한 외각)의 쌍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3개 있다. 즉, 삼각형의 모든 내각 + 모든 외각 = 180˚× 3이다. 그 값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180˚를 빼면 삼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 180˚×3 - 180˚=540˚-180˚=360˚. 사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을 구해보자. (한 내각+한 외각)의 쌍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4개 있다. 즉, 사각형의 모든 내각 + 모든 외각 = .. 2022. 11. 15.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는 준정다면체가 아니다! 2015년도부터 체험수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관련 연수와 수학체험전, MF 등을 다니면서 다양한 수학 관련 체험활동들을 경험해보고 학생들에게 가르치게 되었다. 어떤 연수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어디선가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를 준정다면체라고 배웠고 그 사실에 의심을 하지 않고 학생들에게도 똑같이 가르쳤다. 그런데 2021년 참여하고 있는 수학교사 모임에서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와 준정다면체는 다르다는 연수를 받고 나처럼 이 두 개념을 같다고 생각하는 학생, 선생님들을 위해 내용을 정리해본다.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는 준정다면체가 아니다!! 우선 모든 수학적 개념을 정의를 통해 살펴보자. 정의의 출처는 그림의 출처는 '나'! (힘든 과정이었다.) 정다면체(Platonic solid, 플라톤 다면체)란, 조건1.. 2022. 11. 15.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