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이야기18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역별 복습] 함수(일차함수) 중학교 수학을 대충 공부한 학생들을 위해 준비했다. 고등학교 가기 전에 읽고 가렴~~ 중학교 수학을 영역별로 복습해 보자. 함수 목차부터 살펴보자. [중2] 일차함수와 그래프 1. 함수의 뜻 2. 일차함수의 그래프 3.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절편과 기울기 4.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5. 일차함수의 식 구하기 6.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7.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연립일차방정식 [중3] 이차함수와 그래프 중2 함수 내용 정리 1. 함수: 두 변수 x, y에 대하여 x의 값이 변함에 따라 y의 값이 하나씩 정해지는 대응 관계가 있을 때, y를 x의 함수라고 한다. * 변수 : x, y와 같이 변하는 여러 가지 값을 나타내는 문자 * 자연수 x의 5배인 자연수를 y라고 하자. x의 값이 1,2,3,...으로.. 2023. 1. 15.
[입체도형]기둥, 뿔, 구의 부피 구하는 방법 부피란, 공간에서 한 물체가 차지하는 양을 뜻한다. 즉, 수학에서는 입체도형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말하며, 부피의 단위에는 ㎤(세제곱센티미터), ㎥(세제곱미터)가 있다. 오늘은 기둥, 뿔, 구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기둥의 부피] 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각기둥이든지 원기둥이든지 밑면이 높이만큼 쌓여있기 때문에 기둥의 부피는 (밑넓이)×(높이) 각기둥의 부피를 구해보자. 밑넓이=5×8×1/2=20㎠ 높이=6cm 부피= 20×6=120㎤ 이번에는 원기둥의 부피도 구해보자. 밑넓이=4×4×π=16π㎠ 높이=10cm 부피 = 16π ×10=160π ㎤ [뿔의 부피] 뿔의 부피는 기둥의 부피의 이라는 사실만 안다면 뿔의 부피를 구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중1 수준에서는 .. 2023. 1. 9.
[심화]구의 부피, 구의 겉넓이 공식 유도(적분법의 응용, 고등과정) 중1 과정에서는 실험을 통해 구의 부피와, 구의 겉넓이 공식을 유도했다. 이는 엄밀한 방법은 아니다. 수학적 호기심을 가지고 구의 부피와 겉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궁금해하는 반에 한 명 있을까 말까한 학생들을 위해 이 글을 써본다.^^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살펴보자. 1. 함수 f가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f(x) ≥0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로 주어진다. 2. 회전체의 부피 이제 구간 [a,b]에서 f(x)≥0이라 하자. 이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을 x축 둘레로 1회전 시키면, 입체도형이 생긴다. 이 입체를 구간 [a,b]에서 곡선 y=f(x)를 x축.. 2023. 1. 7.
[입체도형]기둥, 뿔, 구의 겉넓이 구하는 방법 입체도형의 겉넓이는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개도란 3차원 입체를 2차원 평면으로 펼쳐서 그린 도형을 말한다. 전개도는 입체도형의 모서리를 잘라서 펼친 모양인데 잘린 모서리는 실선으로, 잘리지 않은 모서리는 점선으로 표기하며 모든 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기둥의 겉넓이] 각기둥과 같은 다면체는 모서리를 적절하게 잘라서 펼치면 전개도 완성! 여러가지 모양의 전개도가 나올 수 있으나 겉넓이의 구조를 파악하기에는 위의 전개도가 가장~깔끔하다. 원기둥은 어떨까? 원기둥은 회전체이다. 원 모양의 두 밑면과 모선(옆면을 만드는 선분)이 만들어내는 옆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기둥을 2차원 평면으로 펼치려면 밑면의 원의 경계를 잘라내고 옆면은 모서리 대..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