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야기

고교학점제

by 친절한 강선생 2022. 11. 9.
728x90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2018년 고교학점제의 정의와 핵심 요소는
아래와 같다.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과정 이수, 운영제도

 

 

핵심 요소

1. 진로 지도의 혁신 : 진로와 교육과정(학업) 연계
2. 학생 과목 선택권 보장
3. 책임교육 보장




2021년 고교학점제의 변경된 정의와
핵심 요소를 살펴보자.

 

 

학생이 기초 소양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새로운 정의에서 강조하는 핵심요소

1. 책임교육 강조
2. 진로 결정의 유연성 추가
3. 과목 이수의 학점제 취지 강조





고교학점제가 왜 필요할까?


1. 학령인구 급감으로 고등학교 교육의 정체성 재정립 필요

 


2. 4차 산업혁명 시작으로 인한
학교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 교육부의 AI 도입 방안
2020년 11월 유, 초, 중, 고의 AI 도입 방안에 대해 발표
인공지능 시대 정책 3대 방안
(감성적 창조인재, 초개인화 학습환경,
따뜻한 지능화 정책)도출
일부 고등학교에
'인공지능 수학', '인공지능 기초'등
과목 신설 및 운영



3. 모든 학생을 존중하는 교육의 공공성 추구


고교학점제에서 진로학업설계의 개념


학생이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자신의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배움의 단계에 따라 적절히 이수하고
학점을 취득하여 졸업할 수 있도록
스스로 학업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진로학업설계라고 한다.


진로학업설계 지도 단계
1. 진로지도 -> 진로 결정 지원
2. 과목 선택 지도 -> 진로 결정에 따른 과목 선택 지원
3. 과목 이수 설계 지도 ->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 지원
4. 학업관리 지도-> 이수 및 졸업을 위한 학업관리 상담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문제점
1. 학생 중심이 아닌 프로그램 중심의 진로교육
2. 지속성과 체계성(연계성)이 부족한 진로교육
3. 담임교사, 교과교사의 학생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 부족
4. 학교 교육 공동체, 지역사회의 협력적 진로교육 체제 구축 미흡
5. 진로교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


고교학점제에서 진로학업설계 지도의 중요성
1.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고 자신의 진로를 위한 역량 함양
2. 과목 미이수 예방 및 미이수 발생 시 필요한 책임교육 지원
3. 학생이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자기 주도성과 협력성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 마련

 

 

 

 

2023학년도 고등학교에서 시행될

고교학점제의 자세한 운영 내용을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발간한

 '2023학년도 입학생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안내서'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2023학년도 입학생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안내서.pdf
1.96MB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