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자유학기 동안에는
학생들이 꿈과 끼를 찾고
진로를 탐색하는 기회 가지며,
학생 참여형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2013학년도~2014학년도
광주는 1개학기 자유학기제를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하였으며
2015학년도~2017학년도에는 전체 중학교가
1학년 1개학기를 자유학기로
170시간이상 운영하였다.
2018년도부터~2022학년도에는
전체 중학교가
광주형 자유학년제로
1학년 1,2학기 모두 221시간 이상
자유학기를 운영하였다.
2023년 내년 또 변화가 생긴다.
이번에는 자유학기 확대가 아니라
자유학년에서 자유학기로의 축소다.
자세한 변경사항과 운영 방법을 알아보자.
1. 주요 변경 사항
구분 | 2018~2022학년도 | ★ 2023~2024학년도 ★ | 2025학년도~ |
적용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2 개정 교육과정 |
운영 학기 | 2개 학기 (1학년 1학기와 2학기) |
1개 학기 (1학년 1학기) |
1개 학기 (1학년 1학기) |
운영 시간 | 221시간 | 170시간 | 102시간 |
자유학기 활동 영역 |
4영역 주제 선택, 진로탐색, 예술·체육, 동아리 |
4영역 주제 선택, 진로 탐색, 예술·체육, 동아리 |
2영역 주제 선택, 진로 탐색 |
대상 학기 |
• 1학년 1학기 |
교과 | •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 개별학생 맞춤형 지원 활성화 |
시수 조정 |
• 교과(군)별 20% 범위 내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51시간(학교스포츠클럽활동 시수 포함) 범위 내에서 ‘자유학기 활동’ 편성 가능 |
• 자유학기 활동 편성을 위한 교과(군)별 조정가능 시수는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교과(군)별 시간 배당(3년간 총 기준 수업 시수)의 20% 범위에서만 활용 가능함 • 예술・체육 교과(군)를 조정하는 경우 ‘예술・체육 활동’으로만 편성 가능 ※ 체육교과 활용 시 체육활동만 운영 가능. 음악 또는 미술교과 조정 시 해당 교과에만 한정하지 않고 예술(음악/미술) 교과(군)와 연계된 활동으로 운영 가능 •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조정하는 경우 ‘예술・체육 활동’의 체육활동이나 ‘동아리 활동’(학교스포츠클럽활동 관련 프로그램)으로 편성할 수 있음 |
|
자유 학기 활동 |
• 1학년 1학기에 170시간 이상 운영 |
•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시수를 활용 • 학생의 희망ㆍ관심사 및 학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4개 영역*을 편성 * 주제선택, 예술체육, 동아리, 진로탐색 활동 • 운영 활동 및 활동별 배당 시수는 개별 학교에서 교육목표와 여건에 따라 구성원 의견 수렴을 통해 자율적으로 편성 |
|
평가 및 기록 |
• 일제식 지필평가 미실시, 학생 참여형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 실시 • 교과성취도 미산출, 이수 여부만 성취도란에 ‘P’로 입력 • 교과 및 자유학기 활동 평가 결과 기록 - (교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모든 과목에 대해 각 과목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의 특성, 학습활동 참여도 및 태도, 활동 내역(체육ㆍ예술 과목은 실기능력, 교과적성 포함) 등을 학교생활기록부에 문장으로 기록 - (자유학기 활동)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활동 내용, 참여도, 흥미도 등을 종합평가하여 학생의 활동 과정 및 참여 태도, 활동 후 성장 정도 등 학생의 개별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문장으로 기록 |
3. 2023 중학교 교유과정의 목표
자유학기제와 고교학점제의 공통 목표 및 원리를 바탕으로
진정한 배움의 과정을 경험하며, 학습 탐구력을 신장하며, 진로 탐색을 통해
초ㆍ중학교 및 중ㆍ고등학교의 안정적인 전환과 변화 및 성장을 이루는 교육과정
1학년 1학기 | 1학년 2학기 ~ 2학년 2학기 | 3학년 |
자유학기 | 중학교 교육과정 내실화 | 교육과정 내실화 (진로 연계 활동) |
4. 2023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향
< 예비 단계 >
■ 시기: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입학 전
■ 내용: 『중학교 미리보기』를 통한 중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안정적인 적응 준비를 위해 자료 제작 및 보급
< 자유학기 >
■ 시기: 중학교 1학년 1학기
■ 내용: 지식ㆍ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이와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학기 운영
< 중학교 교육과정 내실화 >
■ 시기: 중학교 1학년 2학기 ~ 2학년 2학기
■ 내용: 자유학기 목표 및 원리를 연계하여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를 강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탐구력을 강화하여 실력 및 성장을 강화하는 학년(기) 운영
< 중학교 교육과정 내실화(진로 연계 활동) >
■ 시기: 중학교 3학년 1학기 ~ 3학년 2학기
■ 내용: 자유학기와 고교학점제가 잘 연계될 수 있도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중심 평가를 강화하며, 중ㆍ고등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진로 탐색 및 진학 준비를 위해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진로 연계 활동 강화
※ 진로 연계 활동을 위한 교수ㆍ학습 및 수업 활동 관련 자료 제작․보급 예정
'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입시 대입전형 알아보기(수시, 정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 (0) | 2023.02.07 |
---|---|
고등학교 교과 선택 및 공부하는 방법 (0) | 2023.01.13 |
고등학교 수학 교과 구성(공통과목, 선택과목) (0) | 2022.12.10 |
미래 직업 세계와 진로탐색 (0) | 2022.11.11 |
고교학점제 (0) | 2022.11.09 |